📘 콘텐츠를 꼭! 봐야 하는 사장님
✔️ 가게 입지가 불리한 사장님 ✔️ 생계형 장사를 시작하신 사장님 |
✏️ 바쁜 사장님을 위한 핵심 문장
・희소성 있는 아이템이 필요해요. |
🏚️ 골목 안쪽에서도 장사를 잘하는 비법은 무엇일까요?
우리가 자금이 넉넉하면 좋은 자리에 가게를 차리겠죠.
하지만 대부분의 생계형 창업자들은 자금이 그리 넉넉하지 않아요. 그래서 전 재산을 투자하고, 그것도 모자라서 대출까지 받는 거죠.
그런데 그렇게 전 재산 풀 대출을 받다 보니까 메인 자리의 수천만 원, 억대 이상의 바닥 권리금을 주고 가게를 개업하기에는 손이 벌벌 떨려요.
고작 20평짜리, 30평짜리 가게 하나 하겠다고 8,000원짜리 국밥 하나 팔겠다고 2~3억 원을 투자해야 하니까요.
골목 구석탱이에 있지만 꾸준한 매출로 ‘여기는 아직도 장사를 하네?’라는 생각이 드는 가게들이 있어요.
메인 자리에 대해서 권리금은 아예 없고 월세도 절반 이상이 저렴해요.
관리비 개념조차 없는 곳도 허다하고요. 어째서 골목 저 깊고 깊은 구석에 자리하지만 오래도록 장사를 할 수 있었던 걸까.
물론 월세가 저렴하기 때문에, 상권이 최악이라서 들어갔다가 망한 가게도 분명히 있어요.
하지만 그곳에서 오히려 꾸역꾸역 살아남아서 숨은 재야의 고수가 되는 가게들이 있죠.
그 가게들이 가진 3가지 공통점을 지금부터 이야기하려고 해요. 자, 과연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었던 걸까요?
친절해서? 아니에요. 저렴해서? 이것도 아니에요. 그러면 도대체 뭘까요?
지금부터 그들이 가진 3가지 비밀, 그 비밀을 알려 드릴게요.
💎 희소성의 법칙
첫 번째, 골목 구석탱이에서 오래도록 살아남은 가게의 비밀은 희소성의 법칙입니다.
아! 하고 무릎을 치시는 분이 있다면 이미 시장을 보는 눈이 아주 탁월하신 분이에요.
자금력이 뒷받침된다면 희소성이고 나발이고 메인 자리로 가면 되고요. 더할 나위 없이 좋겠죠. 상권이 좋은 곳이니까요. 그리고 아이템 역시 희소한 걸 가지고 가면 끝이에요.
다만 골목 구석진 자리로 들어갔다는 건 자금력이 부족하기 때문이에요.
그렇다면 남들이 잘하지 못하는, 동네에서 진짜 경쟁력 있는 아이템을 해야 해요.
그래야 구석진 곳에서의 가치가 돋보여요.
동네마다 메인 도로에는 순댓국밥집, 해장국집, 햄버거집, 칼국숫집 없는 업종이 없어요.
이런 흔한 음식을 먹기 위해서 사람들은 골목 구석을 찾진 않아요. 물어 물어서 찾아가더라도 동네에 잘 없는 음식이어야 한다는 거예요.
메뉴를 살짝 비튼다거나, 손이 좀 더 많이 가는 음식을 만들거나, 하루 한정으로 팔 수밖에 없는 조리 공정이 있다거나, 제철에만 먹을 수 있는 음식 등등. 이런 음식을 파는 가게는 희소하기 때문에 골목 구석에서 버틸 수 있는 것이고요.
사람들 사이에서 아주 천천히 입소문이 나게 되면서 손님이 꾸준히 방문하게 되는 거예요.
앞으로 더욱더 새로운 레시피를 가진 매장이 많이 나올 거예요. 이런 매장이 골목을 찾는 이유는 자본금은 약하지만, 희소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고, 그 희소성 때문에 찾아오는 사람이 있다는 걸 알기 때문이에요.
💸 할인의 법칙
두 번째, 골목 구석탱이에서 오래 살아남는 가게의 비밀은 할인의 법칙입니다.
보통 대로변에 있는 큼지막한 식당은 매출이 떨어지면 대대적인 할인 행사를 해요.
소고기국밥 20% 할인, 순대국밥 30% 할인 또는 코로나 극복 40%, 심지어는 50% 할인 행사도 있어요.
저게 남을까 싶지만 울며 겨자 먹기로 장사를 하는 거예요. 사실상 마진을 포기하고 장사를 하는 거죠.
그런데 골목길 사장님은 할인을 절대 안 해요. 하지만 마음은 할인은 하죠. 가격을 낮추지 않는 할인을 하는 거예요. 이게 무슨 말인가 하면,
가격은 그대로 하거나 오히려 1,000~2,000원 정도를 올리지만 원가율을 대폭 상승시키는 거예요.
대로변의 드넓은 가게는 궁여지책으로 할인 이벤트를 진행하는데, 손님이 조금 오기는 하지만 사실상 마진을 다 포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래 가진 못해요.
게다가 점심 손님이 저녁 손님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고요. 저렴하게 먹고 싶은 손님을 끌어모았으니까 일명 ‘체리피커*‘만 늘어나는 꼴이 되는 거죠.
* 체리피커: 자신의 실속만 차리는 소비자 |
다만 원가율을 높인 골목 식당은 손님의 만족도가 위로 올라가요.
그리고 점심 매출이 저녁 매출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고요. 입소문이 나거든요.
🐮 예를 들어서 한우 국밥 한 그릇에 한우를 100g 넣어 주고 8,000원을 받는 집의 원가율이 2,500원이라고 해 볼게요. 이걸 40~50% 할인해 주면 4,000원을 받아야 해요. 원가가 2,500원이니까 한 그릇에 고작 1,500원이 남는 거죠. 과연 손님이 많이 온다고 좋을까요? 반대로 한우를 200g 넣어 주고 가격을 1,000~1,500원 올리면요. 9,000원 판매가의 원가가 대략 4,500~5,000원 정도니 4,000원이 남아요. 퀄리티는 극강이죠. 고기도 두 배로 넣었을뿐더러 무나 대파도 추가로 더 들어갔을 테니까요. 훨씬 더 푸짐해요. 가격 상승 폭을 그대로 원재료에 투자하는 개념이에요. 아니면 50%는 남기고 나머지 50%를 투자하기도 하고요. 그러니 손님들이 높은 퀄리티를 경험하고 나서 입소문을 내게 되는 거예요. 신뢰감을 가지고 다시 찾는 가게로 자리매김을 하는 거예요. |
대부분의 사람은 다른 이에게 한 번 신뢰를 가지게 되면 그 사람을 맹목적으로 좋아하게 돼요. 여러 방면에서 두터운 믿음을 가지기 때문에 좋은 인상을 오래도록 가지게 돼요.
🎯 원씽(One Thing)의 법칙
세 번째, 골목 구석탱이에서도 오래 살아남는 가게의 비밀은 원씽의 법칙입니다.
사실 외식업을 해보지 않은 사람은 도심지 한복판, 월세가 500만 원 이상인 곳에 김밥천국이 있는 걸 이상하게 생각해요. ‘저 김밥 팔아서 뭐가 남지?’하고 말이죠.
하지만 김밥천국이 그 자리에 있는 이유는 다양한 타겟, 다양한 메뉴 다양한 원팩 제품을 빠르게 공급하고, 1인 손님도 아무런 거리낌 없이 15분 만에 식사를 하고 갈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에요.
거의 판매점과 흡사한 구조이기 때문에 살아남는 거죠.
김밥 하나만, 우동 하나만 판다면 절대 버텨낼 수 없는 고정비예요. 포장 손님도 많고, 그에 반해서 마진은 뛰어난 원팩 제품을 큰 기대감 없이 손님이 이용하기 때문에 유지가 되는 거고요.
김밥천국에서 뭐 맛을 따지거나 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으니까요.
반대로 골목 구석탱이에 있는 허름한 가게이지만 오래 살아남는 가게는 무조건 원푸드로 승부하는 경향이 강해요. 신메뉴고 뭐고 딱 하나만 잘한다는 거예요.
어디 한눈팔지 않고 고집스럽게 그것 하나만 하는 집으로 천천히 입소문을 내는 거죠. 그 누구도 범접하기 힘든 맛을 유지하면서 말이에요.
원씽(One Thing), 한 가지만 생각하는 거죠. 내가 무엇을 잘하며 이걸 어떻게 팔아야 구석진 곳으로 손님을 끌고 오게 할 수 있는지 아는 거고요.
딱 하나만큼은 반경 5km 내에서 그 집이 가장 잘하는 곳으로 자리매김해야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
많은 사람이 생계형으로 장사를 시작해요. 하지만 특별한 기술을 가지고 시작하는 사람은 좀 드물죠. 자본금이 있는 사람은 좋은 상권을 찾아서 자금력으로 장사를 하면서 점점 자리를 잡아가지만,
생계형 자영업자는 ‘차리면 손님이 오겠지’라는 안일한 장사를 많이들 해요. 희소한 가치를 가지려 하지 않고, 퀄리티 높은 음식을 만들 생각이 거의 없는 거죠. 한 가지가 아니라 여러 가지에 눈독을 많이 들이고요.
자본력이 탄탄하지 않다면 좋은 기획력과 전략, 그리고 기술이 필요해요.
반드시 이 점을 명심해서 성공적인 장사의 길로 나갔으면 하는 바람이에요.
이상 권프로였고요. 많이 파는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많이 파세요.
다른 콘텐츠 살펴보기
🌊 먼 바다 배 타고 생선잡아 장사하는 28살 여사장님
유텍스트가 더 궁금하다면? 👇
・ 본 콘텐츠는 제휴사가 제공하였으며, 캐시노트는 콘텐츠의 정확성, 완전성,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