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사장님!😊
기존 가게를 인수하여 사업을 시작하는 경우 권리금이 발생하는데요.
권리금도 세금처리가 가능한지에 대해 많이 궁금해하십니다.
그래서 오늘은 사업양수도 시 양도자와 양수자는 어떻게 세금처리를 하는가에 대해서 정리해드릴게요!
🙋🏻♂️ 양도자(권리금 받는 사람)는?
✅ 부가가치세 |
영업권 대가로 받은 금액에 대해 세금계산서를 발급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2천만원의 권리금이 발생하는 경우 2백만원의 부가세를 별도로 양수인에게 지급받으시고 세금계산서 발급 후 부가가치세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
✅ 기타소득(또는 양도소득) |
토지, 건물 및 부동산을 포함해 권리금을 양도했다면 양도소득세가 과세됩니다. |
✅ 종합소득세 |
기타소득으로 세금 신고되며, 필요경비 60% 제외한 40%에 해당하는 금액에 22%를 종합소득세로 납부하시게 됩니다. 예를 들어 2천만원의 권리금을 받은 경우 2천만원의 40%인 8백만원에 22%에 해당하는 176만원을 납부해야 합니다. |
💁🏻 양수자(권리금 지급하는 사람)는?
✅ 부가가치세 |
양도인으로부터 세금계산서를 수취하셔야 합니다. |
✅ 종합소득세 |
토지영업권은 무형자산으로 종합소득세 신고 시 5년동안 감가상각비로 비용처리가 가능합니다. |
✅ 원천징수의무 |
영업권은 기타소득에 해당되므로 지급금액의 8.8%를 원천징수 공제하여 양도자에게 지급하여야 합니다. |
그럼 남은 하루도 화이팅하세요.😇
💁🏻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 | 병의원 양수도 개원 시 주의? |
![]() | 권리금 잘 받는 6가지 방법 |
![]() | 가게 얻을 때, 필수 체크 리스트 |
본 콘텐츠는 제휴사가 제공하였으며, 캐시노트는 콘텐츠의 정확성, 완전성,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콘텐츠는 작성일자를 기준으로 한 정보로 구성되었습니다. 조회 시점에 맞춰 최신 정보 확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