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크 홈
경영관리
사장님을 위한 장사 정보나누미

해고예고수당, 꼭 줘야 하나요?

2023.05.31



🔎 오늘의 정보, 3줄 요약!

1️⃣ 해고예고제도란?
2️⃣ 해고예고수당이란?
3️⃣ 해고예고 예외 경우



💡 해고예고제도란?


근로자가 계속 근로한 기간이 3개월 이상인 경우,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적어도 30일 전에 해고예고를 해야 합니다.


💬 해고예고를 위반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근로기준법, 제110조제1호)




💰 해고예고수당이란?


30일 전에 해고예고를 하지 않은 경우,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해고예고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 해고예고의 예외


✔️ 근로자가 계속 근로한 기간이 3개월 미만인 경우

✔️ 천재・사변 등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을 계속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 근로자가 고의로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

✔️ 근로자가 사업에 재산상 손해를 끼친 경우 등


위의 경우에 해당한다면, 해고예고를 하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 해고예고는 어떻게 하면 되나요?


반드시 서면으로 하셔야 해요. 해고 사유를 구두(말)로 통보할 경우, 노동위원회에서는 그 해고를 무효로 보고 있습니다. 



🙋🏻구제 신청
서면 외의 방법으로 해고를 통지한 경우, 근로자는 부당해고 구제신청 기간 내에 노동 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이 가능합니다.
* 구제 신청 기간: 해고 통지일로 부터 3개월





🧚🏻‍♂️ 함께 보면 좋은 해고 서식 콘텐츠





댓글 26
최신순
오래된순
사장님의 생각이 궁금해요 첫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