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크 홈
경영관리
사장님을 위한 장사 정보나누미

알바에게 휴게시간 꼭 줘야 하나요?

2023.06.07



🔎 오늘의 정보, 3줄 요약!

1️⃣ 근로기준법에 따른 휴게시간은?
2️⃣ 휴게시간 언제, 얼마나 제공해야 하나요?
3️⃣ 휴게시간에 급여 지급해야 하나요?



💡 휴게시간 근로기준법 조항


🧑🏻‍⚖️ 근로기준법 제54조
① 사용자는 근로시간이 4시간인 경우에는 30분 이상, 8시간인 경우에는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을 근로시간 도중에 주어야 한다.

② 휴게시간은 근로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근로기준법에 따라 '휴게시간'은 규모와 인원에 상관없이 근로자에게 의무적으로 부여해야 합니다. 이를 따르지 않을 시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 휴게시간 길이


근로시간(1일) 휴게시간
4시간 미만 의무 X
4시간 이상 8시간 미만 30분 이상
8시간 이상 1시간 이상


✔️ 또한 휴게시간은 '근로시간 도중'에 제공 되어야 합니다. 출근 전이나 후에 휴게시간을 제공할 수 없고, 휴게시간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 식사시간도 휴게시간인가요?


네. 하루 8시간 이상을 근무하는 대부분의 회사들은 1시간의 점심 식사 시간을 제공하고 있죠.


식사시간이라는 명목 하에 근로시간 도중 1시간의 휴게시간을 제공하여 근로기준법을 준수하고 있는 것입이다.




👀 휴게시간은 유급으로 주어지나요?


휴게시간은 근로시간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임금도 지급되지 않습니다. (단, 별도의 합의가 있을 시 휴게시간도 유급으로 주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휴게시간은 근로시간이 아니기 때문에 근로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정해진 시간 안에 업무에 복귀만 한다면 사업장을 벗어나도 무방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근로/직원 관련 콘텐츠







댓글 0
최신순
오래된순
사장님의 생각이 궁금해요 첫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