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사장님🐥
종소세 신고는 일반적으로 5월에 하지만, 6월에 하는 사장님들도 있습니다.
사업 규모가 큰 경우 성실신고확인을 통해 보다 꼼꼼하게 신고해야 하는데요, 그럼 바로 설명드릴게요!
💰 매출이 오르면 달라지는 것
성실신고확인대상자가 되면 종합소득세 신고서가 성실하게 작성됐는지 세무대리인에게 한 번 더 확인받아야 해요.
종소세 신고서뿐 아니라 성실신고확인서도 제출해야 하는 거죠. 이때 확인하는 세무대리인에게 추가로 확인비용을 지출해야 합니다.
💡 성실신고확인대상자는 종소세 신고기한을 5월 말까지에서 6월 말까지로 한 달 더 연장해 주고 성실신고확인비용도 보전해 줘요. 세무대리인에게 지불하는 성실신고확인비용의 60%를 최대 120만원까지 세액공제 받을 수 있고, 남은 비용은 경비로 처리할 수 있어요. |
이 밖에도 일반 직장인이 연말정산을 할 때처럼 의료비 세액공제, 교육비 세액공제, 월세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 의료비 사업소득 3%를 초과한 부분에 대해 공제 공제 대상 의료비의 최대 700만원까지 세액공제 가능 *교육비와 월세에 대해서도 직장인과 동일하게 세액공제 가능 |
반대로 성실신고확인 대상 사업자가 성실신고확인을 받지 않고 일반 사업자처럼 종소세 신고서만 내면 성실신고확인서 미제출 가산세를 냅니다. 뿐만 아니라 성실신고사업자는 국세청의 세무조사에 더 쉽게 노출돼요.
성실신고확인 의무를 위반한 사업자는 소득 탈루나 탈세 혐의가 있을 때 진행되는 수시 세무조사 대상에 선정될 확률이 높아지거든요.
성실신고확인 주요 항목을 보면 주요 사업내역 현황뿐 아니라 배우자나 자녀 등 특수관계인과 거래를 한 내역까지 꼼꼼하게 체크해야 해요. 전체적으로 성실신고확인대상이 되면 이전보다 세금신고가 더 까다로워져요.
💌 성실신고확인대상자 범위는요
농업이나 도·소매업은 연 15억원 이상, 제조업이나 숙박업·음식점업은 7억5000만원 이상이면 성실신고확인을 받아야 하고요.
부동산임대업이나 서비스업종은 5억원만 넘어도 성실신고확인 대상으로 구분돼요.
2018년부터 이전보다 성실신고 대상자 범위가 넓어졌어요. 국세청이 사장님들의 세금 신고를 보다 더 엄격하게 보고 있는 추세죠.
🧐 두 개 이상의 업종을 겸영하거나 연도 중에 개업 혹인 폐업을 한 경우, 다음 해에 종소세 어떻게 신고하나요?
주된 업종의 수입금액이 성실신고확인대상이 되는 기준금액에 못 미치더라도 그 밖의 업종 수입금액환산액을 합한 금액이 기준금액을 넘으면 성실신고확인 대상이 돼요.
⚙️ 제조업을 운영 중이고 2022년 7월 법인전환했습니다. 법인전환 전까진 7억원이 수입이었습니다. 성실신고 대상인가요?
폐업과 법인전환은 환산하지 않아요. 제조업 기준으로 7억5000만원 미만이기 때문에 성실신고 대상이 아니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