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크 홈
경영관리
사장님을 위한 장사 정보나누미

월세, 상가・사무실 임차료 비용처리 하세요!

2023.06.23



🔎 오늘의 정보, 3줄 요약!

1️⃣ 임대인이 일반과세자일 때
2️⃣ 임대인이 간이과세자일 때
3️⃣ 보증금은 비용처리 안되나요?



💡 임대인이 일반과세자라면


상가나 사무실을 임대해 매월 월세를 내고 있다면, 반드시 지출증빙내역을 수취하셔서 필요 경비로 인정받으세요!


임대인(건물주)이 일반과세자라면 월세를 낸 후 세금계산서, 신용카드매출전표 등 법정지출증빙을 발급받으시면 돼요.


그리고 해당 증빙내역을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 신고하시면 비용 처리 됩니다.


🧾 법정지출증빙 종류
세금계산서, 계산서, 신용카드 매출전표, 현금영수증


만약 증빙이 불가능한 거래일 경우 (예시: 현금 거래) 거래 사실을 입증이 된다면 비용인정은 가능하지만 지출증빙불성실가산세 2%가 부과되니 유의하세요!



👀 임대인이 간이과세자라면



매출 세금계산서 발급 여부
4800만원 이상 가능
4800만원 미만 불가능


직전연도 매출이 4800만원 미만인 간이과세자는 세금계산서를 발급하지 못해요.


때문에 법적지출증빙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임대인에게 임차료를 계좌 이체 후 과세표준확정신고서에 송금명세서(혹은 은행 입금표)를 첨부하시면 필요경비로 인정받으실 수 있어요.


🙋🏻 현금 거래를 하셨다면
역시 적격 증빙을 수취하지 못했기 때문에 지출증빙불성실 가산세 2%가 부과됩니다.




💰 보증금은 비용 처리 안되나요?


임차보증금은 계약 만기 시 돌려 받는 금액이기 때문에 비용이 아닙니다. 보증금은 자산으로 처리해야 하는 항목으로 임대차 계약서만 증빙 자료로 구비해 두시면 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세무 콘텐츠







댓글 0
최신순
오래된순
사장님의 생각이 궁금해요 첫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