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사장님🧚🏻♀️
오늘은 미리 알아두면 좋은 간이과세자 종합소득세 신고 및 절세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 나는 어떤 과세 유형에 해당될까?
먼저 본인이 간이과세자에 해당하는지 확인해보세요. 개인사업자는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로 나뉘는데요,
간이과세자 신규 사업자 또는 연간 매출액이 8천만 원 미만인 경우 일반과세자 연간 매출액이 8천만 원 이상인 경우 |
연간 매출액이 8천만 원 미만이더라도 본인이 일반과세자로 신청했다면 과세 유형은 일반과세자에 해당된다는 점 유의해주세요.
💡간이과세자도 종합소득세 환급이 가능할까?
간이과세자는 일반과세자와 달리 부가가치세 신고를 진행하지 않아 부가세 환급이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종합소득세는 동일하게 신고 절차를 진행하기 때문에 환급 대상에 해당하는 경우 환급이 가능합니다.
📅 종합소득세 과세 및 신고 기간은?
과세 기간 전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종합소득 신고 및 납부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
만약 해당 기간 안에 신고 및 납부를 진행하지 않을 경우 그에 따른 가산세가 부과되니 이와 같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올바른 기간 안에 꼭 진행해 주시길 바랍니다.
📌 종합소득세 계산 방법은?
계산 방법은 모든 과세 유형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종합소득세 = 과세표준 x 세율 |
각 사업자마다 다르게 적용되는 과세표준에 해당하는 세율을 곱하는 것으로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종합소득세를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과세표준이란? 한 해 동안 사업자가 벌어들인 총 매출액에서 비용을 뺀 금액 과세표준을 구할 때 살펴볼 수 있는 비용이란? 인건비, 소모품비, 접대비 등 사업을 운용하는데 발생한 지출 금액 |
🔎 2023 종합소득세 세율
총 매출액에서 비용을 빼면 본인의 과세표준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과세표준 | 세율 |
1,200만 원 이하 | 6% |
1,200만 원 초과 4,600만 원 이하 | 15% |
4,600만 원 초과 8,800만 원 이하 | 24% |
8,800만 원 초과 1억 5천만 원 이하 | 35% |
1억 5천만 원 초과 3억 원 이하 | 38% |
3억 원 초과 5억 원 이하 | 40% |
5억 원 초과 10억 원 이하 | 42% |
10억 원 초과 | 45% |
과세표준에 따라 세율이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에 위 표를 참고하여 본인에게 적용되는 세율을 정확하게 파악하시길 바랍니다.
🔒 종합소득세 절세하는 방법
절세는 과세표준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에 필요 경비들을 모두 인정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평소 사업을 운영하며 발생한 지출 항목에 대한 영수증 등과 같은 자료들을 미리 챙기는 것이 현명한 판단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간편 장부가 아닌 복식부기 형태로 장부를 기장하여 신고하면 기장세액 공제도 받을 수 있으니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본 콘텐츠는 제휴사가 제공하였으며, 캐시노트는 콘텐츠의 정확성, 완전성,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