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크 홈
경영관리
분야별 고객 맞춤(bespoke) 세무 컨설팅

종합소득제 부양가족 공제 총정리

2024.04.11

종합소득세 신고하실 때 부양가족 인적공제를 많이 적용받으실 텐데요.

기본 공제 대상 부양가족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어떤 요건을 충족해야 하는지 오늘 정리해 드려요!


1️⃣ 기본공제

본인을 포함하여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1명 당 150만 원씩 공제받으실 수 있습니다. 단, 다음 요건을 만족하셔야 합니다.

기본공제 대상자

나이 요건

소득 요건

본인

배우자

⭕️

본인 및 배우자의 직계존속

만 60세 이상

⭕️

직계비속, 동거입양자

만 20세 이하

⭕️

장애인 직계비속의 장애인 배우자

⭕️

형제자매

만 60세 이상

만 20세 이하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수급자

⭕️

위탁아동

만 18세 미만

⭕️

기본공제 대상자

주민등록상 동거

일시퇴거 허용

본인

-

배우자

-

본인 및 배우자의 직계존속

🔺

(주거형편상 별거 허용

-

직계비속, 동거입양자

⭕️

-

장애인 직계비속의 장애인 배우자

-

형제자매

⭕️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수급자

⭕️

⭕️

위탁아동

-

-

① 나이 요건

기본공제를 받고자 하는 부양가족은 나이 요건(만 60세 이상, 만 20세 이하)을 충족하셔야 합니다. 기준은 과세기간 종료일(23.12.31)입니다.

23년 종합소득세 신고 기준

만 60세 이상 : 1963년 12월 31일 이전 출생

만 20세 이하 : 2003년 1월 1일 이후 출생

*배우자와 장애인은 나이와 상관없이 소득금액 요건만 충족하면 기본공제 적용이 가능합니다.

② 소득 요건

기본공제를 받고자 하는 부양가족은 소득금액이 100만 원 이하(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급여액 500만 원 이하)여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 종류에 따라 다음 표의 소득 금액을 기준으로 판단하시면 됩니다.

소득종류

소득금액 계산

① 종합소득

근로소득

총급여액*-근로소득공제

*연간근로소득-비과세소득

연금소득

총연금액-연금소득공제

사업소득

총수입금액-필요경비

기타소득

총수입금액-필요경비

이자∙

배당소득

총수입금액

소계

위 소득금액의 합계액 = 종합소득금액

② 퇴직소득

퇴직소득 = 퇴직소득금액

③ 양도소득

양도가액-필요경비-장기보유특별공제

연간 소득금액의 합계액

(①+②+③)

종합/소득/양도소득이 있는 경우, 각 소득금액을 합한 금액으로 함

💡 헷갈리는 내용 총정리

대상자인지 아닌지 기준이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 사항을 잘 확인해 보세요.

∙ 공제 대상자 판정 시기: 연도말(12월 31일) 기준

(다만, 사망자나 장애가 치유된 경우 사망일 or 장애치유일 전날을 기준으로 판정)

∙ 해당 과세기간 중에 나이가 해당하는 날이 있는 경우에도 공제 가능

23년 7월 1일부터 만 21세 → 공제대상

∙ 직계존속에는 배우자의 직계존속도 포함

∙ 직계비속과 형제자매의 배우자는 기본공제대상이 아님

(다만, 직계비속과 그 배우자 '모두'가 장애인인 경우 기본공제대상자, 한 사람만 장애인이면 기본공제대상자 아님)

∙직계비속에는 거주자의 배우자가 재혼한 경우로서 해당 배우자가 종전의 배우자와의 혼인 중에 출산한 자를 포함

∙ 배우자가 사망한 경우로서 해당 배우자를 기본공제 받았으면 추가공제 중 한부모공제 받을 수 없음

∙ 자녀가 취업해서 근로소득이 발생한 경우 총급여액이 500만 원 이하여야 부양가족으로 공제 가능

∙ 단독세대주이지만 타지에 있는 부모님을 실제 부양하고 있는 여성: (요건충족 시) 추가공제 중 부녀자공제 적용 가능

∙ 근로자가 23년 12월에 결혼한 경우 배우자공제 가능 → 과세기준일 12월 31일


2️⃣ 추가공제

인적공제 중 추가공제는 기본제공대상자가 각 해당하는 공제요건을 충족할 경우 추가로 공제해 주는 제도입니다. 공제요건은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

구분

요건

공제액

경로우대 공제

기본공제대상자가 70세 이상인 경우

1인당

100만 원

장애인 공제

기본공제대상자가 장애인인 경우

1인당

200만 원

부녀자 공제

종합소득금액이 3,000만 원 이하인 거주자가

- 배우자가 없는 여성으로서 부양가족이 있는 세대주의 경우

- 배우자가 있는 여성의 경우

100만 원

한부모 공제

해당 거주자가 배우자가 없으면서 기본공제대상자인 직계비속(자녀) 또는 입양자가 있는 경우

50만 원

*부녀자 공제와 한부모 공제가 동시에 해당되는 경우라면 → 한부모 공제만 적용


*본 콘텐츠는 제휴사가 제공하였으며, 캐시노트는 콘텐츠의 정확성, 완전성,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댓글 1
최신순
오래된순
사장님의 생각이 궁금해요 첫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