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처 간의 세금 계산서 발행. 사업을 하다 보니 익숙해져서 매번 발행하긴 하지만, 정확히 왜 세금 계산서를 발행해야 하는지 아직 잘 모르는 사장님들이 계십니다.
어차피 영수증이나 이체 내역이 있는데, 바쁜 와중에 왜 굳이 세금 계산서까지 발행해야 하는 걸까요?
오늘은 세이브택스에서 세금 계산서를 발행해야 하는 이유를 4가지로 구분해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1️⃣ 부가가치세를 증명하고 청구하는 과정이에요
<출처: pexels>
세금 계산서에서 '세금'은 부가가치세를 말합니다. 즉, 부가세를 포함한 값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거래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서류예요.
따라서 내가 어떤 상품 또는 서비스를 얼만큼 제공하였으며, 그에 대한 값과(공급가액)과 거기에 붙은 부가가치세가 얼마인지 나누어 적죠.
기본적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공급하고 돈을 받는 쪽이 세금 계산서를 발행해야 하는데요. 내가 이러이러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이만큼 공급하였으니, 그에 대한 값과 부가세를 지불해달라고 공식적으로 요청했다는 걸 보여주는 문서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세금 계산서는 일반 거래에서는 송장, 외상에서는 청구서, 현금에서는 대금 영수증의 역할을 합니다.
2️⃣ 사업 거래 내역을 기록해요
<출처: pixabay>
세금 계산서에는 거래와 관련된 각종 정보가 모두 들어갑니다.
세금 계산서 하나에 양측의 사업자 등록번호, 상호, 주소, 대표자 이름, 업종, 어떤 품목을 얼만큼의 수량으로 거래했으며, 그에 대한 금액은 얼마인지(부가가치세까지 세세하게!), 해당 거래를 한 일자까지 파악할 수 있죠.
여기서 더 들어가면 현금 거래인지, 아니면 수표나 어음인지, 외상 미수금은 얼마나 있는지까지 기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업자 간에 거래와 관련한 상세 정보를 공유하고 합의하는 과정이기도 하죠.
이는 상품을 공급하고 또 공급 받은 사업자 모두에게 거래 사실을 객관적으로 기록하고 증명하는 법적 자료가 됩니다. 덕분에 사업자들이 장부를 기록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하죠.
3️⃣ 부가세를 계산하는 근거가 돼요
<출처: pexels>
공급자 입장에서 그동안 발급한 세금 계산서를 모아 보면 해당 기간 동안 얼만큼의 매출이 나왔는지를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어요.
구매자 입장에서는 그동안 발급 받은 세금 계산서로 자신이 사업과 관련해 지출을 이만큼이나 했다는 걸 보여줄 수 있죠.
판매 사업자에게는 매출, 구매 사업자에게는 매입을 증명하는 세금 계산서는 그에 따른 부가세를 계산하는 근거 자료가 됩니다.
사장님 입장에서 특히 중요한 건, 세금 계산서가 부가세 감면을 받을 수 있는 유일한 증명 서류라는 겁니다.
부가세는 매출 세액에서 매입 세액을 뺀 금액으로 부과되는데, 세금 계산서로 확인이 되는 매입 세액만 공제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업과 관련한 매입을 할 땐 잊지 말고 세금계산서를 요청하여 발급 받으셔야 합니다.
4️⃣ 탈세를 방지할 수 있어요
<출처: pexels>
국가 입장에서도 세금 계산서는 무척 소중합니다. 사업자가 ‘투명하게 사업을 했다’는 것을 나라에 증명하는 자료가 되기 때문이죠.
세금 계산서가 없다면 국세청에서는 사업자의 매출을 파악할 수 없을 테고, 덕분에 사업자는 매출을 쉽게 줄여 신고해서 그에 대한 세금도 적게 내는 탈세를 할 수 있을 거예요.
나라에서는 세금계산서 덕분에 해당 사업자의 매출과 매입을 꼼꼼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덕분에 탈세를 방지할 수 있죠.
*본 콘텐츠는 제휴사가 제공하였으며, 캐시노트는 콘텐츠의 정확성, 완전성,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