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크 홈
경영관리
마이프차
프랜차이즈 창업 준비 필수 앱 마이프차

배달 결제 될까? 민생지원금 사용법 총정리

9일 전

민생회복 소비쿠폰, 어디서 어떻게 쓸 수 있을까요? 최대 135만 원까지 받을 수 있는데, 어디서 어떻게 쓸 수 있는지 살펴볼게요. 브랜드마다, 매장마다 사용 가능 여부가 다르기 때문에 꼭 확인해 주세요!

 


 

프랜차이즈 매장이라도 무조건 되는 건 아니에요

많은 분들이 "같은 브랜드인데 왜 어떤 매장에선 되고 어떤 데선 안 돼요?" 하고 궁금할 수 있어요. 그 이유는 매장 운영 방식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에요.

 

정부가 정한 기준은 '연 매출 30억 원 이하의 소상공인 사업장'이에요. 그래서 본사에서 직접 운영하는 직영점은 사용이 불가능하고, 개인이 운영하는 가맹점에서는 사용이 가능해요.

  • 스타벅스는 전 지점이 직영점이라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없어요.

  • 교촌치킨, 맘스터치, 파리바게뜨, 롯데리아처럼 대부분이 가맹점인 브랜드는 사용 가능해요.

  • CU, GS25 같은 편의점도 대부분 가맹점이라 쓸 수 있어요.

  • 올리브영이나 다이소처럼 가맹점과 직영점이 섞여 있는 브랜드는, 매장마다 다를 수 있어요

혹시 잘 모르시겠다면, 매장 입구에 부착된 '소비쿠폰 사용 가능' 스티커를 확인해 보시면 좋아요. 

 


 

"배달앱에서도 쓸 수 있을까요?"

원칙적으로는 배달앱에서는 사용할 수 없어요. 다만, 예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하나 있어요. 배달원이 카드 단말기를 가지고 와서 '만나서 결제'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있어요. 앱에서 미리 결제하는 건 안 되고, 현장 결제는 되는 거죠.

 

또 온라인 쇼핑몰도 대부분은 안 되고요, 지역사랑상품권과 연동된 일부 지역몰에서만 사용이 가능해요. 이 부분 역시 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사용하는 지역사랑상품권 앱에서 확인해 주세요.

 


 

소비쿠폰, 어디에서 사용할 수 있나요?

사용처는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매장이에요. 전통시장, 동네 마트, 식당, 의류점, 미용실, 안경점, 약국, 의원, 학원 등에서 사용할 수 있고요, 편의점에서도 술·담배 구매가 가능해요. 반면 다음과 같은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어요.

소비쿠폰 사용 불가 매장은? 

  •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

  • 트레이더스, 코스트코 같은 창고형 매장

  • 백화점, 면세점, 대형 전자제품 매장

  • 스타벅스, 애플스토어, 샤넬, 이케아 등 외국계 직영 매장

  • 유흥·사행 업종, 상품권 판매점, 귀금속 매장

  • 통신요금 자동이체, 아파트 관리비, 각종 벌금 등 비소비성 항목

같은 대형마트 안에 있는 매장이라도, 미용실·안경점·키즈카페처럼 임대 매장이라면 사용할 수 있어요. 그리고 면 지역처럼 소상공인 매장이 거의 없는 지역은 예외적으로 하나로마트에서 사용할 수 있어요.


 

사용 지역도 제한이 있어요

소비쿠폰은 주소지 기준으로 지역 제한이 있어요.

  • 서울에 거주하시면 서울 내 매장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요.

  • 경기도에 거주하시면 경기 도내 모든 시·군에서 사용 가능해요.

  • 성남 거주자는 하남이나 안산 등 경기 지역 어디서나 사용하실 수 있고요,

  • 인천 거주자는 인천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어요.

직장이 서울이어도, 주소지가 경기도라면 서울에서는 쓸 수 없다는 점 꼭 기억해 주세요.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요?

기본적으로 모든 국민에게 1인당 15만 원이 지급돼요. 여기에 지역이나 상황에 따라 금액이 달라져요.

  • 비수도권 주민은 +3만원

  •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에 거주하시면 +5만원

  • 차상위계층은 30만원

  • 기초생활수급자는 40만원까지 지급돼요.

  • 미성년 자녀는 세대주가 대신 수령해요.

예를 들어, 농촌에 사는 3인 가족이라면 최대 135만원까지 받을 수 있어요. 9월 22일부터는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에게 1인당 10만 원을 추가 지급할 예정이에요.


 

언제까지 써야 하나요?

소비쿠폰은 11월 30일까지 사용해야 해요. 기간이 지나면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자동으로 환수돼요.

단, 지류형 지역사랑상품권은 유효기간이 최대 5년이지만, 정부는 이 역시 11월 30일까지 사용하는 걸 권장하고 있어요.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 신용·체크카드로 받고 싶으시면 카드사 홈페이지, 앱, 콜센터, 영업점을 통해 신청하실 수 있어요.

  • 선불카드나 지역사랑상품권으로 받고 싶으시면 지자체 앱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하실 수 있어요.

  • 신청은 7월 21일부터 9월 12일 오후 6시까지 가능하고,

  • 카드는 신청한 다음 날부터 사용하실 수 있어요


첫 주에는 요일제가 적용돼요.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신청 요일이 정해져 있으니 신청 전 꼭 확인해 주세요.


 

민생회복 소비쿠폰, 자영업자에게 좋은 점은 뭘까? 
 

  • 매출이 올라갈 수도 있어요 

소비쿠폰은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매장에서만 쓸 수 있어요. 가맹점, 동네 식당, 미용실, 약국, 편의점 등 대부분 사장님이 직접 운영하는 매장이 해당돼요. 자연스럽게 쿠폰 쓸 수 있는 데로 손님이 몰릴 수밖에 없어요.

 

  • 새로운 손님이 찾아올 수 있어요

사람들은 내가 자주 가던 곳보다, 쿠폰 쓸 수 있는 곳을 먼저 찾아요. "이 동네에 쿠폰 되는 미용실 어디지?", "여기 치킨도 되는구나?" 이런 식으로 쿠폰 때문에 처음 오는 손님이 생길 수 있어요. 그 손님이 단골이 될 수도 있겠죠.

  • 자동으로 '마케팅' 효과가 나요

소비자가 알아서 "쿠폰 되는 곳"을 검색하거나 찾아와요. 딱히 이벤트를 안 해도, 쿠폰 스티커 하나만 붙이면 자연스럽게 광고가 되는 셈이에요. 사용처 등록만 돼 있다면, 큰 비용 없이 고객 유입 효과를 누릴 수 있어요.

 

*본 콘텐츠는 제휴사가 제공하였으며, 캐시노트는 콘텐츠의 정확성, 완전성,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댓글 0
최신순
오래된순
사장님의 생각이 궁금해요 첫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