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크 홈
경영관리
사장님을 위한 장사 정보나누미

(핵심만!)기간제/단시간근로자 고용 상식

2023.04.26



#알바생 #직원 #계약내용 #유급휴일 #퇴직금


사장님 안녕하세요 👋

사장님과 함께 일하는 직원, 아르바이트생도 기간제근로자와 단시간근로자로 구분할 수 있다는 점 알고 계신가요?

근로자 유형에 따라 사장님이 체크해야 하는 내용이 달라집니다.

핵심 개념만 정리했으니 빠르게 알아보아요!




기간제, 단시간근로자의 차이점은? 🔎


"기간제근로자"란 근로기간이 정해져 있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를 말해요.


"단시간근로자"는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그 사업장에서 같은 종류의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의 1주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에 비해 짧은 근로자를 말하죠.


*소정근로시간이란? 일정 근로시간의 범위에서 사장님과 직원 간에 정한 근로시간. 1주간 근로시간(휴게시간 제외) 40시간을 초과하지 않을 것, 1일 근로시간(휴게시간 제외) 8시간을 초과하지 않을 것


근로계약서 필수 항목 


사장님이 직원과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에는 근로조건에 관한 사항을 서면으로 명시해야 하는데요,


기간제근로자 채용시 🗓

  • 근로계약기간에 관한 사항
  • 근로시간과 휴게에 관한 사항
  • 임금의 구성항목과 계산방법 및 지불 방법
  • 휴일과 휴가에 관한 사항
  • 취업의 장소와 종사하여야 할 업무에 관한 사항




단시간근로자 채용시 🕖

  • 근로계약기간에 관한 사항
  • 근로시간과 휴게에 관한 사항
  • 임금의 구성항목과 계산방법 및 지불 방법
  • 휴일과 휴가에 관한 사항
  • 취업의 장소와 종사하여야 할 업무에 관한 사항
  • 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시간


기간제근로자는 언제까지? 🗓


사장님이 기간제근로자를 채용한 경우 2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2년 초과시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로 봅니다.



단시간근로자도 유급휴일을? 🏝


사장님과 함께 일하는 단시간근로자는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해야 되는데요, 이 때 지급하여야 하는 임금이 '주휴수당'입니다. 근로기준법 제 60조에 따른 연차유급휴가도 부여됩니다.



초단시간근로자는요?


초단시간근로자는 4주 동안(4주 미만으로 근로하는 경우에는 그 기간)을 평균하여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를 말하는데요,


초단시간근로자에 대해서는 유급휴일 및 연차유급휴가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근로계약이 끝나면? 📑


근로계약기간을 정한 경우 그 기간이 만료되면 별도의 조치없이 근로자로서의 신분관계는 당연히 종료됩니다. 



퇴직금은 언제까지 지급? 💰


직원이 퇴직한 경우 그 지급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별도 협의가 없다면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뾰로롱✨ 이런 콘텐츠도 있지요!


직원 근로계약 전,
필수로 체크할 내용!



휘리릭 이동하기
근로기준법 기준,
상시근로자 수는?




휘리릭 이동하기



・ 본 콘텐츠는 '찾기 쉬운 생활법령정보'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생활법령정보 카드뉴스 콘텐츠에서 발췌했습니다.




댓글 0
최신순
오래된순
사장님의 생각이 궁금해요 첫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