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 배치, OO을 기준으로 하면 완벽합니다
집 근처에 생긴 고깃집에 갔습니다. 20평 남짓한 작은 매장이었습니다.
새로 오픈한 그곳은 내부 시설이 깔끔하고 분위기도 좋았습니다.
그런데 몇 가지 문제점이 눈에 보였습니다. 🔍
부스와 테이블 사이 간격
* 부스: 벽면에 부착된 소파형 의자
필자는 키가 작은 편입니다. 자리에 앉자마자 직감했죠.
"아.. 등받이에 편히 기대기는 글렀구나.." 부스와 테이블 간격이 멀어서였죠.
왜 슬픈 예감은 틀린 적이 없나요. 저는 부스 끝에 겨우 걸터앉았습니다. 🛋
테이블을 부스 쪽으로 끌어당기려 했지만, 테이블마다 덕트가 설치되어 있어 테이블을 이동시킬 수 없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테이블의 크기
음식이 다 나왔는데 테이블 크기가 작았습니다. 차려진 음식을 올려놓기에 약간은 부족한 감이 있었죠. 😂
📏 20평 미만의 소규모 음식점의 경우 4인 장방형 테이블 치수(길이 x 폭)는 600mm x 900mm가 적당합니다. (김미란, 오혜경, 2003).
업종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긴 합니다.
🍻 예를 들면 주점의 경우 650mm x 1,150mm로 제공되며 아이템 수가 많아 음식점보다 더 큰 편입니다.
사업장 오픈 전에 업종, 제공 아이템 수, 그릇 크기 등을 고려하여 테이블 치수를 설계해야 합니다.
👥 여기에 한 가지를 더하자면 평균 방문 고객 수를 고려해서 2인, 4인, 단체석 테이블 수 등을 결정해야 합니다. 좌석 회전율만큼이나 좌석 점유율도 중요하기 때문이죠.
예를 들면, 4인 테이블에 2인이 앉으면 좌석 점유율은 50%이지만, 2인 테이블에 2인이 앉으면 좌석 점유율은 100%입니다.
2인 테이블을 세팅하여 인원수에 따라 붙였다 떼기를 반복하는 방법을 활용해 보세요
* 의자 자리 판 높이(C)의 경우 한국인 인체공학적 설계 기준 423mm~449.5mm가 적당하다(김미란·오혜경, 2003)
🥩 2046 팬 스테이크 하우스는 주 고객이 연인들이기 때문에 평균 고객 수가 2명입니다. 따라서 모든 테이블은 2인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기물이나 그릇의 크기를 고려하여 일반적인 2인 테이블 치수인 600mm x 500mm보다 길이를 더 늘였습니다.
이로써 2명이 메뉴 3개를 주문해도 충분히 테이블에 올려놓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테이블 간의 간격
한정된 공간에서 더 많은 매출을 올리기 위해 테이블 간격을 줄이고 많은 고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레스토랑에서는 테이블 사이의 간격을 18인치(46cm)로 배치합니다.
테이블 사이의 간격을 좁혀서 더 많은 테이블을 배치하면 수익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지만, 테이블과 테이블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으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1️⃣ 고객들 간에 불편함 발생 2️⃣ 직원들이 서빙할 공간이 부족 |
1️⃣ 의 경우, 테이블마다 칸막이를 설치해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2️⃣의 경우에는 해결 방안이 없습니다. 특히 고깃집인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옆 테이블 간의 간격이 좁다면 직원이 서빙할 공간이 부족합니다. 고기를 구울 때 고객의 등 뒤에서 굽는 일이 발생할 수 있죠. 🥓
해당 식당에서도 이런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앞 테이블과 뒤 테이블 사이의 간격 즉, 통로가 좁아 무빙 카트조차 끌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래서 고객의 편의와 직원의 업무 동선까지 고려하여 테이블 치수와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뒤늦게 깨닫는다면 수정하는 데 큰 비용이 들게 될 것입니다. 💰
이용자를 고려하지 않은 구조
이어서 화장실에 갔습니다.
좌변기 옆에 세면대가 있고 출입문은 멀리 떨어져 있는 구조였습니다. 🚽
화장실을 이용한 후 손을 씻는 중에 누군가가 문을 두드렸습니다.
손을 씻다 말고 문으로 다가가 사용 중임을 알리는 노크를 했습니다. 그리고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휴, 내가 손을 씻고 있기에 망정이지. 볼일을 보는 상황에 두드렸다면 난감했겠다..."
이런 상황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문을 잠그면 사용 중인 것으로 보이게 버튼을 설치하거나 안에 사람이 있음을 알리는 표시가 필요합니다.
📜 문이 잠겨 있으면 안에 사람이 있는 것이니 조금만 기다려 주세요. |
인사동에 있는 어느 음식점의 화장실에는 이런 문구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이는 우수한 사례라고 할 수는 없지만 고객의 상황을 배려한 서비스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음식점에서 과학적인 설계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그 기준은 바로 고객입니다. 🙆🏻♀️
서비스교육 전문가 현성운의
우리가게 서비스 만족 비결
다른 글 보러가기
🤎 우리 매장, 어떤 상권에 있고 주 고객은 누구인가요?
🤎 과정 속에서 감동을! 해결 여부보다 중요한 해결 '과정'